본문 바로가기
개인 재정 및 절약 팁

예금과 적금의 차이, 그리고 상황별 활용 전략

by 뉴포켓노트 2025. 7. 28.

“돈을 은행에 넣으면 무조건 이자가 생긴다?” 그렇지 않습니다. 예금과 적금은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구조와 목적이 전혀 다릅니다. 잘못 가입하면 원하는 시점에 돈을 못 빼거나, 기대했던 이자를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고, 어떤 경우에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하는지 실제 상황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예금과 적금, 기본 개념 차이

📌 예금 (정기예금)

  • 목돈을 한 번에 맡기고 일정 기간 후 찾는 방식
  • 기간: 보통 3개월 ~ 3년
  • 이자 지급 방식: 만기일에 원금 + 이자 수령
  • 활용 상황: 이미 모은 돈을 안전하게 굴리고 싶을 때

📌 적금 (정기적금)

  • 매달 정해진 금액을 꾸준히 저축하는 방식
  • 기간: 보통 6개월 ~ 2년
  • 이자 지급 방식: 만기일에 원금 + 이자 수령 (매달 납입 기준 복리 계산)
  • 활용 상황: 돈을 꾸준히 모으고 습관을 만들고 싶을 때

예금 vs 적금, 이자는 어디가 더 높을까?

같은 기간 기준으로 보면, 일반적으로 **정기예금의 금리가 조금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수령 이자는 적금이 더 낮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죠. 그 이유는 **적금은 돈을 '매달 쌓는 구조'라서 복리 효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 4% 예금에 1천만 원을 맡기면 1년 후 약 40만 원 이자를 받습니다. 하지만 같은 금리의 적금에 매달 83만 원씩 납입하면, 총 원금은 같아도 실제 이자는 **그 절반 수준**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예금이 더 좋다

  • 1. 이미 모은 돈(목돈)이 있다
  • 2. 중간에 돈을 쓸 일이 없고, 만기까지 묶어둘 수 있다
  • 3. 고금리 특판 상품을 활용하고 싶다
  • 4. 단기 자산 운용이 필요하다 (3~6개월 단기 예금 활용)

이럴 땐 적금이 유리하다

  • 1. 돈을 한 번에 모을 수 없고, **소액부터 시작하고 싶을 때**
  • 2. 저축 습관을 만들고 싶다
  • 3. 매달 일정한 수입이 있다
  • 4. 목표 저축이 있는 경우 (여행 경비, 자동차 구매 등)

실제 활용 예시

✔️ 사회 초년생 A씨: 매달 30만 원 저축 가능 → **적금**으로 저축 루틴 시작

✔️ 프리랜서 B씨: 프로젝트 수입으로 목돈 생김 → **예금**으로 안정 운용

✔️ 직장인 C씨: 내년에 자동차 구입 예정 → 적금 + 예금 혼합 전략 활용

꿀팁: 금리 비교는 필수!

각 은행의 예금/적금 금리는 수시로 변동됩니다. 상품 가입 전에는 금융감독원 금융상품 비교 사이트나 각 은행 홈페이지를 통해 금리를 꼭 확인하세요.

또한, 최근에는 **비대면 특판 상품**이 더 높은 금리를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앱 전용 상품도 함께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하며: 목적에 따라 금융상품을 선택하세요

예금과 적금은 ‘더 좋고 나쁨’이 아니라, ‘상황에 맞는 선택’이 핵심입니다.

✅ 이미 있는 돈을 굴리고 싶다면 예금 ✅ 새롭게 돈을 모아가고 싶다면 적금 이 기본 원칙만 기억해도 실수 없는 선택이 가능합니다.

목표와 기간을 먼저 정하고, 내 상황에 맞는 상품을 고르세요. 결국 좋은 금융 습관은, 단순한 금리보다 꾸준한 실천에서 나옵니다.